‘서패동주택’은 심학산자락에 자리 잡고 북서쪽으로 한강을 바라보는 대지에 위치하고 있다. 1층을 ㄷ자로 구성하고 맞은편에 대나무를 식재하여, 중정이 온전히 품어지도록 계획했다. 2층은 진입도로에 대응하는 ‘ㅣ’자 매스를, 3층은 동쪽 집에 대응하는 '-'자 매스를 쌓아 올려 외부로부터의 시선을 가리고, 엇갈려 쌓음으로 생기는 외부 공간들을 다채롭게 활용하도록 고려했다. 진입도로 측에 담장과 차고, 1층 매스를 독립적으로 배치하여 그 틈들을 진입 공간으로 삼았다. 각 요소들의 재료에 따라 다양한 질감과 공간감을 느끼며 진입할 수 있도록 계획했으며, 현관 앞에서는 중정을 엿볼 수 있다. 1층엔 거실과 식당/주방, 계단실, 화장실, 다용도실, 현관을 배치했다. 거실과 식당/주방, 계단실은 단 차이를 두어 영역을 구분하되, 시각적으로는 연결되어 1층이 넓어 보이도록 했다. 유틸리티 실들은 각각의 박스로 구획하고 다른 마감재를 사용함으로써, 주기능들과 시각적으로 분리했다. 또한 중정의 자연과 채광을 실내로 끌어들이고 개방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거실에 전창을 계획했으며, 내/외부간의 경계를 허물기 위해 거실 내부 천장마감이 중정 측 외부 처마까지 연장되도록 했다. 지하층엔 게스트룸과 욕실을 배치했다. 침실 앞에 선큰을 두어 환기와 채광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2층은 개인공간과 공용공간을 슬라이딩도어로 분리했다. 개인공간에는 침실과 욕실, 드레스룸을 배치했다. 침실과 욕실에는 중정을 향한 창을 두어 중정과 시각적 연계가 가능하도록 했으며, 한강이 보이는 전용 테라스를 주었다. 공용공간에는 넓은 공용테라스와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조주방을 계획했다. 3층은 건축주의 침실과 욕실을 배치했다. 계단실이 무창실로 구획되어 답답해지지 않도록 상부에 고측창을 두었다. 계단실에서 침실로 진입하면 한강이 내려다보일 수 있도록 창을 계획했으며, 창 앞에 생기는 외부 테라스는 수공간을 겸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침대는 산 쪽으로 배치하고, 발코니를 두어 외부와의 버퍼공간을 주었다. 욕조 상부에 천창을 두어 수직적 개방감을 주며, 자연채광을 유입시켰다. 건축주는 외부의 시선으로부터 닫길 원했고, 건축가는 빛과 자연을 향해 열길 원했다. 서패동 주택은 열림과 닫힘에 대한 조율의 기록이었다.